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유통기한이야? 소비기한이야? 어떤게 맞는 거야?

by 빠리스타 2025. 1. 9.
반응형

 

 제품을 구매할 때 가장 먼저 확인하는 '유통기한'. 하지만 최근에는 '소비기한'이라는 새로운 용어도 등장했습니다. 이 두 가지를 제대로 이해하면 음식을 안전하게 섭취하고 불필요한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의 차이, 현재 우리나라의 제도와 적용 현황, 그리고 대표적인 상품의 기한을 살펴보겠습니다.

 


 

1. 유통기한과 비슷한 용어들

 유통기한 외에도 식품과 관련된 기한을 나타내는 용어에는 소비기한품질유지기한이 있습니다.

  • 유통기한: 제조업체가 정한 기간 내에 제품이 유통·판매될 수 있는 기한입니다. 유통기한이 지나면 품질과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소비기한: 제품을 소비자가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최종 기한을 의미하며, 유통기한보다 더 긴 기간을 포함합니다.
  • 품질유지기한: 식품이 제조 당시의 품질(맛, 향, 외형 등)을 유지할 수 있는 기간을 나타냅니다.

 이 세 가지 용어는 서로 다른 기준으로 식품의 상태를 나타내며, 각각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우리나라가 시행하고 있는 제도

 우리나라에서는 오랫동안 유통기한을 기준으로 식품을 관리해왔습니다. 그러나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고 소비자들에게 더 명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2023년부터 소비기한 표시제가 도입되었습니다.

이 제도는 점진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아직 모든 제품에 소비기한이 표시되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우유 같은 신선 식품은 소비기한 표시로 전환되는 데 시간이 필요하며, 2026년부터 적용될 예정입니다. 현재는 주로 장기 보관이 가능한 제품에서 소비기한 표시가 시작되고 있습니다.


3. 현재까지 소비기한이 적용된 제품

 소비기한 표시제가 도입된 대표적인 제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 즉석밥: 기존 유통기한에서 소비기한으로 전환된 대표 사례.
  • 건조식품: 건조 과일, 건조 해산물 등 부패 가능성이 낮은 품목.
  • 통조림: 밀봉 상태로 보관성이 뛰어난 제품.
  • 캔 음료 및 UHT 우유: 장기 보관이 가능한 음료.

 이처럼 소비기한은 주로 부패 속도가 느린 가공식품을 중심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신선식품은 여전히 유통기한 기준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4. 대표적인 상품들

 아래는 대표적인 식품들의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을 정리한 표입니다.

제 품 유통기한 소비기한
우유 7 ~ 10일 50일
버터 3 ~ 6개월 1년
요거트 14일 45일
치즈 6개월 1년
생크림 7  ~ 10일 30일
달걀 약 21일 약 50일
소고기 약 7일 (냉장) 10 ~ 12일 (냉장)
돼지고기 약 7일 (냉장) 10일 (냉장)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은 식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관리하는 중요한 기준입니다. 소비기한 표시제가 확대되면 소비자들은 더 명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식품을 활용할 수 있어 음식물 낭비를 줄이고 안전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앞으로 제품을 구매할 때 이 두 기한을 잘 이해하고, 현명한 소비습관을 실천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