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재료

초콜릿이란, 초콜릿의 종류와 성분

by 빠리스타 2024. 4. 11.
반응형

초콜릿은 카카오 콩을 원료로 사용한다. 카카오 콩을 발효시킨 후 건조 후 볶아 껍질을 분리한 후 갈아서 분말형태로 만드는데 이를 카카오 매스라고 한다. 이 카카오 매스를 녹인 액체는 카카오 덩어리와 지방성분으로 이루어진 카카오 버터로 분리되는데 이 카카오 매스를 블록 형태로 냉각하면 초콜릿의 원료가 되며, 여기에 카카오 버터를 넣어 초콜릿을 만든다. 카카오 버터가 얼마나 들어가는지에 따라 초콜릿의 종류가 구분되기도 한다. 카카오 매스의 성분은 탄수화물 17%, 단백질 11%, 탄닌 6%에 53%의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지방이 카카오 버터이다. 카카오 파우더는 카카오 매스에서 카카오 버터를 분리한 나머지를 건조 및 분쇄한 것으로 붉은 갈색에 쓰고 떫으며 특유의 신맛이 특징이다. 초콜릿의 주 성분인 카카오에는 폴리페놀이 풍부하며, 이 폴리페놀은 항산화 물질로 활성산소를 억제하여 항암작용, 노화억제, 동맥경화를 예방한다. 또한 각종 심혈관질환, 스트레스 완화에도 효과가 있다. 초콜릿은 와인, 녹차, 홍차 등 보다 많은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카페인과 페닐에틸아민을 함유하고 있는데, 카페인, 페닐에틸아민은 중추신경계를 자극하여 각성 효과를 일으켜 단기 집중력을 상승시키고, 피로감과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페오브로민이라는 성분도 함유하고 있으며 중추신경 자극 물질로 이뇨작용, 근육완화, 혈관확장 등의 기능을 한다. 

1. 다크초콜릿

다크초콜릿은 코코아 가루, 코코아 버터, 설탕을 사용하여 만든 초콜릿으로 그 외의 재료는 사용하지 않는다. 카카오 매스의 함량이 35% 이상이여야 한다.비교적 카카오의 함량 비율이 높아 다른 초콜릿들보다 쌉싸름한 맛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2. 밀크초콜릿

밀크초콜릿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유제품인 분유, 연유, 우유 등을 넣어 가공한 초콜릿이며 카카오 매스 함량이 25% 이상이여야 한다. 다른 초콜릿에 비해 부드러운 맛이 특징이며, 가장 많이 소비되는 초콜릿이다.

3. 화이트초콜릿

화이트초콜릿은 카카오 매스를 뺀 초콜릿으로 카카오 버터, 분유, 설탕 등을 사용하여 만든다. 다른 초콜릿에 비해 단맛이 강하며 부드러운 것이 특징이다. 카카오 버터의 함량이 30% 이상이여야 하며, 이에 따라 가격이 비싼 편이다. 화이트초콜릿은 열에 약하고 쉽게 변질될 수 있다. 시중에서 카카오 버터를 대신한 유지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초콜릿이라 할 수 없다.

4. 잔두야

다크초콜릿에 헤이즐럿을 첨가한 초콜릿으로 이탈리아에서 유명한 초콜릿이다. 헤이즐넛의 고소함과 지방성분으로 부드러운 질감과 고소한 감칠맛이 나는 다크초콜릿이다. 초콜릿의 약 30%의 헤이즐넛이 들어간다. 우리가 흔히 먹는 "누텔라"는 이 초콜릿을 크림화한 것으로 원래 "잔두야 페이스트"로 불렸다고 한다.

 

반응형